전류가 증가하면 와이어(저항)에 의한 전압강하가 커져서 제품에 들어오는 전압이 낮아지게 됨
전압이 낮아지면 전류가 커지는 회로 전압을 조금씩 낮췄더니 전류가 증가했고 제품 전원선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함에따라 전원선에 걸리는 전압강하가 증가함(선 자체도 저항이므로) 전류가 증가할수록, 전압이 기대값에 못미치는 현상은 심해짐. 그러다가 회로 특성상 특정 전압 이하에서는 전류가 확 낮아져버린다면, 전압강하가 확 줄어서 전압이 확 정상화되어버림. 오실로스코프로 그림만 봤을땐 전압이 왜 갑자기 증가하지 싶겠지만, 이전부터 낮아지면서 벌어지던게 갑자기 정상화되는것임.